영국 외무장관 벨푸어와 그 서한
영국 외무장관 벨푸어와 그 서한 : 1917년 11월 2일, 영국 외무장관 아서 제임스 벨푸어(Arthur James Balfour)가 유대계 금융재벌 로스차일드 백작에게 서한을 보냈다. 편지 내용은 간단했다. ‘팔레스타인에 유대 민족국가 건설을 지지한다’는 것이다. 벨푸어 장관은 영국 내각의 승인까지 받았음을 밝혔다. 마침 조상의 땅으로 돌아가자는 시오니즘 운동이 시들어가고 있던 상황에서, 벨푸어 서한의 내용을 전해 들은 유대인 사회에서는 환호성이 울렸다.
문제는 벨푸어 선언(Balfour Declaration)이 영국 정부의 기본적인 중동 정책과 상반된다는 점이다. 팔레스타인에서 1,900년간 터를 잡고 살아온 아랍 민족은 뒤늦게 벨푸어 선언을 듣고서 배신감에 치를 떨어야 했다. ‘전쟁(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 팔레스타인의 독립을 보장한다’는 ‘맥마흔 서한(1915년)’과 너무나 달랐기 때문이었다. 맥마흔의 지위가 고등판무관으로 외상보다는 낮았지만, 영국은 10여 차례에 걸쳐 ‘아랍 독립’을 약속했었다.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 주인공
베두인(아랍 유목민)들이 영국군 정보 장교 토머스 로렌스(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 주인공)와 시리아와 요르단, 팔레스타인에서 오스만 튀르크 제국과 싸운 이유도 독립 약속을 믿었기 때문이었다. 전사자 10만을 희생하면서 영국에 협조했던 베두인족은 벨푸어 선언에 항의했으나 소용없는 일이었다. 전쟁이 끝났을 때 영국은 중동의 누구와도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인 1947년 이스라엘 국가가 팔레스타인에 건국 되어 영국은 시일만 어겼을 뿐 벨푸어 선언을 이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영국은 자신들의 이권만큼은 철저하게 챙기는 국가다. 영국은 프랑스와도 ‘전쟁이 끝나면 터키령 중동을 분할 통치한다’는 비밀 협정(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 대부분 오스만 튀르크의 영토였던 중동지역을 나눠 먹는 그림을 그렸다. 영국과 프랑스는 1920년 산레모 협정을 맺으며 중동 땅을 나눠 먹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미국이 끼어들기까지 중동 지역은 영국과 프랑스의 양분 구도가 이어졌다.
영국과 프랑스는 중동산 석유의 가능성을 주목하고 반식민 통치 체계를 시도했으나 먹히지 않았다. 무엇보다 아랍인들의 민족주의 경향이 짙어지고 있었다.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귀환이 늘어나면서 그 반사작용으로 아랍인들의 민족주의도 표면으로 드러난 것이다. 테러가 테러를 낳는 중동의 불행은 여기서 싹이 텄다. 영국이 지배하는 팔레스타인은 연일 아랍과 유대 민족 간 유혈 투쟁의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영국이 아랍 민족을 배반한 이유는 두 가지
영국이 아랍 민족을 배반한 이유는 두 가지, 돈과 기술 때문이다. 로스차일드를 비롯한 유대 자본이 영국의 전쟁 공채를 사주지 않는다면 독일 동맹국들과 전쟁을 치르기 어려웠다. 포탄 제조에 들어가는 아세톤의 대량생산 기술을 유대인 과학자 차임 바이츠만(훗날 초대 이스라엘 대통령)이 갖고 있다는 점도 유대 국가 건설을 약속한 배경이다.
벨푸어 선언은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주를 급증시켰다. 선언 당시 8만 명 수준이던 유대 인구가 2차 세계대전 직후 50만 명으로 불어나 1948년 이스라엘 건국으로 이어졌다. 유대인 대신 팔레스타인 난민의 유랑이 시작된 것도 이때부터다. 영국은 2002년 ‘벨푸어 선언은 명예롭지 않은 결정’이었다며 우회적으로 사과했으나 세계는 여전히 중동발 불안에 떨고 있다. 단지 3문장, 125단어로 구성된 벨푸어 선언이 증폭시킨 혼란과 증오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벨푸어 선언의 후유증
팔레스타인 당국은 벨푸어 선언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간 유혈 분쟁의 뿌리로 여겨 당사국인 영국 정부를 상대로 국제 소송을 추진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러한 움직임을 벨푸어 선언 100주년 이후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의 존립 근거부터 부정하려는 의도로 보고 있다. 영국 또한 원정 테러 등이 매년 더욱 많아질 가능성에 긴장하고 있다.
1. 아랍-유대인 갈등의 증폭 : 벨푸어 선언은 팔레스타인 지역에 거주하던 아랍인들과 유대인 이민자들 사이의 갈등을 증폭시켰다. 유대인 국가 건설에 대한 지지가 아랍인들 사이에서는 자신들의 땅과 권리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여졌고, 이는 수십 년에 걸친 충돌로 이어지고 있다.
2. 영국의 이중 약속 문제 : 제 1차 세계대전 동안 영국은 아랍인들에게 오스만 투르크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였다. 하지만 벨푸어 선언을 통해 유대인에게도 팔레스타인에 국가 건설에 대한 약속을 하면서, 이중 약속 문제가 발생하고 영국과 팔레스타인 지역 주민들 사이의 신뢰 상실로 이어진다.
3. 국제적 분쟁의 촉발 : 벨푸어 선언은 국제사회에서도 큰 논란이 되었다.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계획(1947년)으로 이어지며, 1948년 이스라엘 국가의 선포와 이후 수차례의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4. 난민문제 : 충돌과 전쟁으로 인해 수많은 팔레스타인이 난민이 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땅과 집을 잃고, 오늘날까지도 국제사회에서 해결되지 않은 난민 문제의 중심에 있다.
벨푸어 선언은 단기적으로는 유대인에게 국가적 고향을 마련하려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했을지 모르나, 장기적으로는 중동 지역의 복잡한 갈등과 분쟁의 뿌리가 되었다. 이는 오늘날 팔레스타인 집권당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전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다.
추천 도서 coupang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세계사:2 000년 유럽의 모든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의 지식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하나로 이에 따른 작은 광고 수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